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토의법, 토론법 장점과 종류 토의법, 토론법 장점과 종류 간혹 토론법, 토의법, 사실은 약간은 엄격하게는 구분이 됩니다. 그런데 우리가 그냥 토론법이라고 해서 얘기를 해보도록 할게요. 토론법은 여러 명의 학습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교환을 하면서 학습자들끼리 상호작용을 하면서 거기에서 학습이 일어나게끔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학습 방법이죠. 토론법은 왜 좋을까요? 그렇습니다. 교수자 위주의 강의식 수업을 할 때는 학습자들이 다 팔짱 끼고, 졸고 이렇게 하던 학습자들이 토론을 하게 되면 일단 내가 참여해야 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좋은 점이에요. 그러면 훨씬 수업에 동기가 촉진되겠죠. 그리고 토론은 학습 내용을 익히는 목적과 대등하게 또 어떤 목적이 있냐 하면, 이것을 통해서 의사소통과 함께 사회적인 기술..
인지주의 단계와 특징 인지주의 단계와 특징 들어오는 정보는 처음에 머무는 곳이 우리가 작동기억, 또는 작업 기억이라고 하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예전에는 워킹 메모리라는 말 대신에 워킹 메모리를 번역을 하다 보니까 작동 또는 작업 기억 이렇게 얘기를 하는데, 단기 기억이라는 말로 주로 이 공간에 대한 이름을 썼어요.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워킹메모리 공간의 크기입니다. 우리가 매직 넘버 7 플러스마이너스 2다. 이런 얘기를 하는 거 있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워킹 메모리의 용량은 이 정도예요. 그런데 제가 수년간 이렇게 여러분의 강의를 해 보다 보니까 한 십 수 년간 동안 아주 독특한 학습자 2명을 발견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학습자들은 이 13자리의 무의미한 숫자를 다 기억을 했어요. 순서에 정확하게. 어떻게 기억을 했냐..
인지적 유연성 이론 인지적 유연성 이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인지적 유연성 이론은 최근에 보다 더 강조되는 능력을 여러분에게 요구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이런 능력을 가졌으면 좋겠다. ”라는 관점에서 나온 교수이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또는 지금 현재 사회를 살고 있는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어떤 역량이 여러 지식 범주를 넘나들면서 다양한 것들을 서로 연결 지으면서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상황이 너무나 많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여러분에게 요구하는 것이 많아졌고, 그때그때 또 달라지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변화하는 상황적인 요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런 식의 학습방법에 자꾸만 노출시켜서 훈련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해서 나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