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주도 학습 절차와 장점
자기 주도 학습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수업모형, 수업방법 이런 것 중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 또는 이론이라고 보셔도 좋습니다. 자기 주도 학습이론이 있는데요. 여러분은 너무 많이 이 얘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특히 어디에서 많이 들어보셨습니까? 요즘 모든 학원가에 다 붙어있고요. 방송에서 학습지 선전하는데도 나오고 이러죠. 그래서 여러분이 자기 주도 자기 주도 학습에 관한 오해가 생기기 쉽습니다. 자기 주도 학습의 핵심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학습에 목표를 가지고 계획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 원칙이고 핵심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주변에 많은 광고나 이런 것들을 보다 보니까 “자기 주도 학습은 그냥 학원 안 가고 혼자만 하면 자기 주도 학습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을 하시는데요. 핵심은 어디에 있다고요? 그렇죠. 주체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갖고, 가장 중요한 게 목표예요. 목표를 가지고 그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서 자신의 계획을 짜고 실행을 해나가는 이런 것이 핵심입니다. 여러분에게 한 가지 좋은 팁을 드리면 우리가 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학업성취가 높은 학습자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어요. 뭘까요? 그렇죠. 목표의식이 분명하다는 거예요. 이것은 다른 말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조건의 첫 번째인 목표를 분명히 잘 세우고 이 목표가 분명한 친구들은 자신의 학업계획을 잘 세우고 그것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모니터링하면서 지속적으로 잘 수정해나가면서 실제로 목표에 따라서 잘하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기 주도 학습의 핵심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주체적으로 목표의식을 가지고 계획에 따라 자신의 학습을 주도해가는 학습방법을 얘기합니다. 그래서 만약에 교수자로서 자기 주도 학습을 학생들에게 안내하려면 어떤 식으로 하라고 할 수 있을까를 여러분에게 절차를 가지고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기 주도 학습 절차
제일 먼저 자기 주도 학습은 학습요구를 진단합니다. “내가 뭘 하고 싶지?” 이것을 알아야 해요. 무조건 목표가 나올 수 없겠죠. “나는 사실은 선생님이 되고 싶은데 실제 내 성적은 이것밖에 안 돼. ” 그러면 이 사이에 이렇게 결함이 막 생긴 거예요. 그러면 내가 이 결함을 메우기 위해서 나는 어떤 목표를 세워야겠다고 하는 스스로의 요구 진단을 정확하게 하고, 그다음에 거기에 맞게 정확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그래서 “지금 이 정도의 점수 차이가 나고 있는데 특히 내가 가장 부족한 부분인 수학 점수를 이만큼 올리면 이렇게 되겠다. ”라는 어떤 목표를 아주 구체적으로 세울 수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에 목표만 세우고 나서 하라고 하면, “목표만 세우고 지켜야지”라면 막연해요. 그래서 구체적인 플랜을 자신이 잡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만약에 수학이 이렇게 부족하면 수학을 누군가로부터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학습자원이나 나를 위한 학습지원이나 어떤 것들이 어떻게 주어질 수 있는지를 다 따져보면서 학습지원이나 자원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그다음 거기에 맞게 시간계획을 세우고요. 어떤 식으로 공부할 것인가에 관한 학습전략을 선정하고 실제로 거기에 맞게 수행합니다. 여러분 '플랭클린 다이어리' 이런 얘기 들어보셨죠? 그리고 연초가 되면 여러분 막 다이어리 사서 시간계획 짜고,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도 많이 하겠지만 이런 학습계획 같은 것을 막 설정합니다. 그런데 목표가 일단 먼저 구체적이어야 그것을 가지고 “그러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남아있는 시간이 전체가 얼마이고, 그 계획 중에서 중간에는 무엇을 달성해야 하니까 이렇게 역으로 시간계획을 짜 보면 이때는 무엇을 해야 하고…. ” 이렇게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체적인 목표를 기반으로 학습자원이나 어떤 지원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그것을 토대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우고 그 실행계획에 따라 수행을, 학습을 해나가는 것이 자기 주도 학습의 과제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요. 실제로 자기가 목표했던 시기까지 이행이 끝나고 나면 결과를 스스로 평가해봅니다. “내가 이번에 중간고사에 이런 플랜을 세워서 어떤 도움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시간계획을 짜서 공부했는데 중간고사를 보고 났더니 목표에 도달이 90%밖에 안 됐어. ” “나머지 10% 정도가 부족해. ” 그러면 이것은 왜 그랬는지를 가지고 다시금 “내가 이것을 하기로 했지만 정말 고난도 문제는 제대로 풀지 못했구나. ” 그러면 이 부분을 어떤 식으로 더 보완해야 하는지, 이 부족한 10%를 어떤 식으로 할 것인지, 그러면 “나의 다음 목표는 무엇이다. ”라면서 목표를 다시 세우고 이렇게 평가결과를 스스로 환류 해갈 수 있는 것이 자기 주도 학습의 핵심입니다. 자기 주도 학습은 왜 우리가 교육에서 자꾸 강조할까요? 온갖 학원에서 왜 자기 주도 학습이라는 얘기를 해가면서 홍보를 할까요? 분명히 장점이 있기 때문이겠죠.
자기 주도 학습의 장점
일단 자기 주도 학습이 잘 이루어지면 학습 성과에 대한 자기만족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리고 자기 주도 자기 주도 학습은 실제로 잘 안 되는 경우가 아니고 잘 이루어진다고 하면 학업성취만 높아지는 것이 아니고 자존감, 자신감 이런 것들도 더불어 높아지기에 좋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인지적인 영역뿐만이 아니고 정의적인 영역까지도 교육에서는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자아개념이나 이런 것들을 동시에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주도 학습을 학습자들에게 자꾸만 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갖추도록 훈련을 시키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학생들이 자기 주도 학습을 하면 교사는 학생들이 다 알아서 하고 “우리는 그냥 팔짱 끼고 있으면 됩니까?” 아니죠. 교수자의 역할은 학습내용을 정확하게 안내하고,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 학습을 잘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모든 학습자들이 다 자기 주도 학습을 잘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그럴 때는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해요. 목표 설정이 잘 안 되면 같이 “너는 뭘 하고 싶니?” 요구부터 같이 진단해보고 목표도 같이 세우는데 조력해보고, 학습플랜을 짜는데도 처음부터 잘할 수 있는 학습자들은 별로 없어요. 그래서 같이 시간계획을 짜는 것, 중간마다 자기 학습을 어떻게 모니터링하는지 도와주고, 그다음에 “학습이 어느 정도 끝나면 어떤 식으로 너의 학습을 한 번 평가해봐야 한다. ”라고 이런 부분들을 자세히 알려주고 그것을 자꾸만 하게 해서 자신의 습관으로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수자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교육, 방법, 교육공학, 교수이론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결과의 유형(Learning Outcomes) (0) | 2022.07.25 |
---|---|
자원기반학습 특징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7.25 |
토의법, 토론법 장점과 종류 (0) | 2022.07.24 |
인지주의 단계와 특징 (0) | 2022.07.24 |
인지적 유연성 이론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