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개념과 의의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개념과 의의 학습이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교육공학 강좌에서 학습이론을 살펴보는 것은 여러분이 일반적으로 교육심리나 아니면 다른 심리학에서 학습이론 같은 것을 혹시 학습을 했을 수도 있는데, 그때와는 조금 다른 접근을 하시기를 저는 기대합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심리학이나 교육심리 같은 곳에서 여러분이 학습이론을 학습할 때는 그 이론 자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그 이론의 내용이 뭔가 여기에 초점을 두고 공부를 하셔도 됩니다. 행동주의의 학습이론은 뭔가,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뭔가,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뭔가? 그런데 이 강좌에서 여러분이 학습이론을 학습을 하시는 이유는 학습자의 학습을 잘 알아야지 여러분이 가르치는 교수활동을 잘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 행동주의 교수설계의 시사점과 주위에서 볼 수 있는 행동주의 학습 행동주의 교수설계의 시사점과 주위에서 볼 수 있는 행동주의 학습 행동주의가 여전히 약간은 단순하고 오래된 듯한 이론인 느낌이 들지만, 여전히 우리 교육에서는 너무나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요. 대표적인 영향력이 있는 곳이 강화 플랜이에요. 여러분 강화가 뭐라고 했습니까?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을 더 증폭시키거나 또는 줄어들게끔 하는 플랜이에요. 다양한 플랜, 지금 여러분 앞에 매트릭스가 있을 것입니다. 그 매트릭스를 보면 정적 자극이 주어지는 경우 또는 없어지는 경우. 그다음 부적 자극이 주어지는 경우, 없어지는 경우 이렇게 지금 매트릭스가 주어지는데요. 정적 자극이 주어지는 경우가 뭔가요? 상과 같은 거죠. 대표적으로 정적 강화라고 하는 겁니다. 강화라는 말은 여러분이 헷갈리면 안 되는 것이에요... 학습내용의 하위기능 분석 방법 학습내용의 하위 기능 분석 방법 그중에서 가장 학교교육이나 일반적인 교육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주로 무엇이라고 했습니까? 그렇죠. 지적 기능에 해당하는 부분을 우리가 학습대상으로 다루는 경우가 가장 흔하고 많습니다. 그런데 지적 기능에 해당하는 부분은 우리가 배워야 하는 것이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에요. 그것을 자세히 보면 많은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학습내용을 어떤 식으로 잘게 쪼개서 학습자들에게 잘 제시할 것인가? 이것이 교수자가 고민해야 하는 또 하나의 요소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학습내용을 어떤 식으로 분석해서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지 그런 부분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학습내용을 이렇게 잘게 쪼개어서 제시한다고 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쉽게끔 하는 데에 목적..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