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방법, 교육공학, 교수이론 소개

교수설계에 대한 체제적 접근과 ADDIE STEP 이해

카빌론 2022. 7. 23. 06:03

교수설계에 대한 체제적 접근과 ADDIE STEP 이해

교수설계에 대한 체제적 접근과 ADDIE STEP 이해
교수설계에 대한 체제적 접근과 ADDIE STEP 이해

체제는 영어로 system입니다. 체제는 무엇을 얘기할까요? 여러분 어떤 단어에 주로 체제가 있었습니까? 어떤 단어죠? 공산 체제, 교육 체제, 경제 체제 등등. 그런 말들이 붙어 있는 단어들 한 번 떠올려 보십시오. 어떤 특징이 있습니까? 뭔가 그 하나로만 설명이 되지 않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구성 요소들이 뭉쳐져서 유기적으로 잘, 자기네들끼리 상호작용하면서 있는 어떤 이 구성 요소들의 집합이 체제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드시죠? 바로 그것입니다. 교수 설계는 여러분이 일반적으로 수업이라는 것을 단편적으로 생각하던 선생님, 학생, 책, 학습내용 이것만 있으면 되는 거 아니야? 이건 되게 표면적으로 보이는 부분이고요. 실제로 교수 설계는 많은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합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이제부터 교수 설계를 한다. 이렇게 하면 모든 요소를 다 고려한 종합적인 사고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구성 요소들이 특정한 목표를 향해서 달려가는데 우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의 특징을 잘 기억을 하시고요. 그리고 체제적 접근이다는 말을 하면 뭘까요? 구성 요소들이 막 이렇게 연관되어있어요. 그렇지만 그것이 이거 다음에 이거, 이거 다음에 이거 딱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아요. 많은 구성 요소들이 이렇게 상호관계가 되어 있으면서 이것과 이것이 연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것과 이것이 연계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체제적 접근을 한다는 얘기는 비선형적이고, 비순차적 일수도 있고, 조금 역동적이다는 생각으로 여러분이 접근을 하시 좋을 거 같아요. 교수 설계, 광범위하게 접근하셔야 됩니다. 여러분이 이 체제에 대해서 더 관심이 있으시면요. 우리가 철학 책이나 어떤 다른 이론으로 체제 이론 같은 것을 찾아보시면서 아 이런 게 체제구나 하고 조금 더 이해를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왜 교수 설계를 체제적 접근이라고 하는가 하는 부분을 한 번 얘기해보겠습니다.

교수 설계를 체제적 접근이라고 하는 이유

여러분에게 제가 하나 예를 드리죠. 어떤 학생이 매 수업마다 엎드려서 잠을 자고 수업에 집중을 못하고, 매일 졸고 이래요. 선생님이 생각할 때는 '아 저 친구는 내가 수업이 재미가 없어서 그런가?'라고 생각을 하고, 수업을 더 재밌는 요소를 많이 넣어서 열심히 가르쳤어요. 나는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어요. 그런데 이 친구의 이런 모습들은 나아지지 않았어요. 왜 그런가를 나중에 학생을 데리고 와서 면담을 해보니 이 학생은 단지 수업이 재미없어서가 아니고 가정형편이 어려웠어요. 그래서 실질적으로 이 학생이 가지고 있던 문제는 밤늦게까지 아르바이트를 하고, 그다음에 공부할, 수면 시간이 부족하고 그러다 보니까 수업 시간에 졸음이 오고, 어쩌고 이런 식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었어요. 그때 선생님은 교실에 보이는 표면적인 것만 봐서 개선을 하려고 했을 때는 수업을 더 재밌게 하려고 했어요. 하지만 그렇게 해서 내가 개선을 하려고 했던 거는 이 학생한테 그렇게 효과적이지 않았어요. 이 얘기가 의미하는 부분은 우리가 교수 설계를 할 때는 조금 더 체제적인 접근을 해야 된다는 것을 가지고 이 관점을 들어가 볼게요. 체제라는 것은 많은 구성 요소들의 합이에요. 이 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학생의 인지적 측면, 공부는 못 한다 할 수 있겠죠. 그 선수 지식이 없고. 그런 정의적인 측면, 수업에 대한 동기가 낮을 수도 있겠죠? 또 사회 경제적인 측면을 보니까, 사회적인 측면을 보니까 학생이 이런 가정 형편이 어려워서 수업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이더라는 거죠. 그러면 이 분석을 많은 구성 요소에 대한 고려를 토대로 선생님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은 오히려 수업에서 그냥 막 재밌게 수업하는 것보다도 이 학생이 어떻게 공부할 시간을 조금 확보해 주기 위해서, 학교 내에서 할 수 있는 작은 아르바이트 거리가 없는가를 찾아 봐 준다든지, 아니면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공부를 할 수 있는 어떤 다른 어떤 학습 자료를 조금 공유해 준다든지, 하는 다른 식의 접근 방법도 가능할 거랍니다.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우리가 이 교수학습을 둘러싸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많은 측면을 아주 세밀하게 과학적인 접근으로 보실 필요가 있다는 데 체제적 접근을 그런 관점에서 이해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체제적 접근은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상호 연결, 요소들의 종합적인 이해, 이런 것의 관점에서 교수 설계를 봐야 한다는 성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이제 교수 설계의 일반적인 특징을 조금 이해를 하셨는데요.

ADDIE STEP - 교수 설계의 모형

그런 특징을 바탕으로 교수 설계에서는 꼭 기억하셔야 되는 것이 교수 설계의 모형이라고도 얘기하고 교수설계 일반적인 절차라고도 얘기할 수 있는 ADDIE STEP이 있습니다. 이것은 교수 설계를 할 때는 이런, 이런, 이런 단계는 분명히 거쳐야 된다는 관점에서 나와서 우리가 교수 설계자들에게는 교수 설계라는 모형으로도 이해가 되고요. 교수 설계를 하는 하나의 어떤 그 절차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교수 설계는 제일 먼저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내가 가르칠 학습자들은 어떤 사람들이고, 내가 가르칠 학습내용은 무엇이고, 그 다음에 이 교육은 어떤 환경에서 이루어질 것이고, 이런 식의 분석을 통해서 교수 설계가 이루어집니다. 그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요.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도 제일 중요한 것은 이 분석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요구 분석이에요. 요구가 없는 교육 프로그램은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돈이 남았기 때문에 교육프로그램 만든다. 이런 것은요 우리가 교수 설계의 특징에 뭐라고 했습니까? 제일 먼저 배운 특징. 목적 지향적이다. 이렇게 배웠죠? 그래서 분명한 목적을 가져야 됩니다. 그 목적은 주로 요구에서부터 나옵니다. 그래서 교수 설계를 할 때는 제일 먼저 왜 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가?라는 요구 분석, 그다음에 학습자 분석, 그다음에 우리가 배울 내용 이것을 전문용어로, 교육학 용어로 “과제”라고 얘기를 합니다. 여러분이 자꾸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가 과제라고 얘기하면 숙제 이런 식의 생각을 하시는데, 여기서 과제는 학습해야 되는 내용을 말하는 전문 용어입니다. 그래서 학습 과제 분석, 학습 환경 분석 이런 분석을 토대로 시작이 됩니다. 분석을 했더니 이 학습자들은 어떻고, 이 학습 내용은 어떤 특징이 있고, 그다음에 우리가 이 교육이 실시될 환경은 어떤 특징이 있더라. 이런 분석부터 해놓고 이제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제 구체적으로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지 설계를 합니다. 이 설계 단계에서는요. 어떤 구체적인 이제 가르쳐야 되는 그 구체적인 목표들을 쫙 뽑아내고요. 그다음에 우리가 어떤 무엇을 달성해야 되고, 이 학생들은 무엇을 달성해야 되고, 무엇을 달성해야 되고 이렇게 나오면 이것을 가지고 이때 바로 이 목표에 어떻게 도달을 했는지를 평가를 가지고, 평가도구를 이 단계에 만들어놓습니다. 만들어 놓고 이 목표에 달성했는지는 이 평가로 확인하고, 이 목표에 달성했는지는 이 평가로 확인하고 이렇게 매칭을 시켜서 평가도구도 이 설계단계에서 만들어둡니다. 그리고 어떤 식으로 이 학습자들을 가르칠까를 교수 전략도 이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둡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이 설계 단계는 한 마디로 설계서를 쓰는 단계다,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어떤 학습목표를 주로 우리가 그 교육 내용에 담을 것인지, 이걸 어떻게 평가에서 도달했는지, 확인할 것인지,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주로 설계 단계에서 정하는 겁니다. 이렇게 해놓고 나면 교육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모양이 갖춰져요. 그렇게 되면 구체적으로 이제 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필요한 교수 학습 자료나 등등의 많은 수업 자료나 이런 것들을 개발을 하게 되지요. 그렇게 한 다음에 실제로 이제 다 만들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적용하겠죠? 실제 그 활용을 하는 겁니다. 실제로 실행이 잘 이루어졌는지, 어떤 부분이 만약에 부족하다면 어떻게 개선되어야 되는지, 그래서 개선되어야 되는 요소까지 뽑아서 교수 설계는 한 번에, 일회적으로 다 끝나 버리는 것이 아니고 그 결과를 가지고 평가를 해보고 뭐는 잘 됐고, 뭐는 못 되고를 가지고 다시 이렇게 그러면 우리가 학습자에게 딱 맞는 수업을 만들었는데 만족도가 떨어지네? 그러면 어떤 부분이 뭐가 문제였을까? 다시 학습자를 조금 더 다시 조사해보자. 하면서 다시 처음으로 들어가서 분석도 하고, 설계도 하고, 개발도 하고, 그래서 재적용하고 또 평가를 하게 되는 거예요. 그래서 교수 설계는 이렇게 절차를 분석, 설계, 그다음에 계발, 적용, 평가에 의해서 그 첫 자들만 따서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이거에 첫 자를 딱 따서 ADDIE STEP에 따른다고 우리가 흔히들 많이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은 이 ADDIE 과정은 한 번만 돌고 끝나는 것이 아니고, 어떤 특징이 있다고요? 그렇죠. 순환적으로 이 과정에서 쭉 이루어지고 나면요. 그다음에 다시 이 평가 결과를 가지고 다시 이렇게 돌아가는 이렇게 사이클이 계속 순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교수 설계의 특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러분이 기억해야 되는 부분은 교수 설계의 가장 기본적인 모형이라고도 할 수 있고 교수 설계의 일반적인 절차라고도 할 수 있는 ADDIE라고 하는 것이 A 뭐고, 첫 번째 D 뭐고, 두 번째 D 뭐고, IE 각각의 단계가 뭘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잘 기억하셔야 됩니다.